참조: https://wamp-proto.org/http://autobahn.readthedocs.io/en/latest/wamp/programming.html WAMP는 routed protocol이다. 예제:Browser → (N) BrowserBrowser → (N) ServerServer → (N) BrowserServer → (N) Server.... 기능:비동기 RPC(Remote Procedure Calls)Publish & Subscribe 구조:publisher → router(WAMP) → subscriber
참조:http://epicdevs.com/17 위 참조 사이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. 구성Broker 는 Topic 기준으로 메세지를 관리.Producer 는 Topic의 메세지를 생성하고, Broker에 전달Consumer 는 Broker가 쌓아둔 Topic을 가져가서 처리하게 된다.Topic 은 업무 또는 메세지. 차이점(장점)다수의 메세지를 batch 형태로 처리 가능. (TCP/IP 라운드트립 횟수를 줄인다.)TCP 기반의 프로토콜 사용.(오버헤드 감소)분산 시스템으로 설계 (분산 및 복제가 다른 메시징 시스템에 비해 손쉽다)Transactions Per Second(TPS)가 우수하다.파일시스템에 저장데이터의 영속성이 보장파일시스템에 저장하여 메세지(데이터)가 많아도 성능이 크게 저하가 ..
참조: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3798835/understanding-get-and-set-and-python-descriptors The descriptor is how Python's property type is implemented. A descriptor simply implements __get__, __set__, etc. and is then added to another class in its definition (as you did above with the Temperature class). For example:temp=Temperature() temp.celsius #calls celsius.__get__Accessing the proper..
- TDD
- executor
- python
- tensorflow
- javascript
- API
- Maven
- 점프투파이썬
- AWS
- 모두의딥러닝
- mybatis
- Error
- 중앙정보처리학원
- Gradle
- Docker
- Configuration
- web
- 파이썬
- BigData
- mysql
- spark
- ML
- 머신러닝
- memory
- AI
- 텐서플로우
- serverless
- NIO
- Java
- spring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